성경을 기반으로 한 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윤리적 의사결정의 기독교적 인격을 함양하고 공동체 의식과 소통능력을 배양
연번 | 핵심어 | 내용 |
---|---|---|
1 | 신학 | 지성과 영성을 겸비한 기독교 지도자가 되기 위해 현실 속에서 대두되는 민감한 문제들에 대한 해석과 대안적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함양 |
2 | 자기 인지 | 자기 자질과 장단점 발견 및 보완을 통해 궁극적 자아성취를 위한 기본적 능력을 개발 및 발전시킴 |
3 | 관계성 | 인간과 세상에 대한 근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계성 확장과 심화를 통한 사회적 소통역량 증진 |
대학 교육목표 | 학부(과) 교육목표 | 연관성 근거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신학 | 자기인지 | 관계성 | |||
실교육 | 실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실용 교육 | S | M | W | 성서적 창조가치를 통한 실용적 사고와 실천 강조 |
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실무교육 | W | S | M | 교회와 선교현장에서의 성실성과 정직성의 태도 함양 | |
성과와 변화를 담보하는 실현 가능 교육 | M | W | S | 관계성과 소통성 능력 배양을 통한 과업성취의 극대화 | |
참교육 | 스스로의 목표를 세워 열정을 갖고 도전하는 의지인 | M | S | W | 자신이 나아가야 할 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른 의지를 갖기 위해 자기 인지 능력의 햠양 필요 |
전문분야에서 문제해결 역량을 갖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성인 | S | W | M | 목회 등 기독교 환경 속에서 전문성을 갖고 타인에 대한 바른 이해로 정의 교육을 통해 대안적 가치관과 실천 능력 배양. | |
협업능력을 갖추어 글로벌 현장에서 우리 사회의 발전에 공헌하는 세계인 | W | M | S | 경청과 공감의 자세로 소통과 화해의 능력을 구축. |
* S 높은 연관성, M 보통 연관성, W 낮은 연관성
성경에 기반한 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윤리적 의사결정의 기독교적 인격을 함양하고공동체 의식과 소통능력을 갖춘 종교 지도자이자 전문가
연번 | 기독교학과 전공역량 | 전공역량 정의 | 기독교학과 인재상과의 연관성 |
---|---|---|---|
1 | 신학 역량 | 지성과 영성을 겸비한 기독교 지도자가 되기 위해 현실 속에서 대두되는 민감한 문제들에 대한 해석과 대안적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함양 | 신학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향상시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이성적-합리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재 육성 |
2 | 자기 인지 역량 | 자기 자질과 장·단점 발견 및 보완을 통해 궁극적 자아성취를 위한 기본적 능력을 개발 및 발전시킴 | 타인 이해의 전제는 자기 이해임. 신학과 철학뿐만 아닌 심리학,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역량을 갖춤으로 시대의 요구에 맞춘 기독교 지도자 육성 |
3 | 관계성 역량 | 인간과 세상에 대한 근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계성 확장과 심화를 통한 사회적 소통역량 증진 | 참된 기독교학 교육을 통해 사회적 질서와 내면의 도덕성 성취를 돕는 기독교 지도자 육성 |